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ython3
- TensorFlow
- ubuntu
- Melodic
- 강화학습
- mujoco-py
- MuJoCo2.1.5
- jupyter
- simulation
- RemoteDesktop
- 주피터랩
- GYM
- Baselines
- Ros
- JupyterLab
- MuJoCo
- Anaconda
- Physics
- Robot
- systemctl
- pyTorch
- OpenAI
- Reinforcement Learning
- wsl2
- WSL
- bindings
- Robotics
- 무조코
- 우분투
- python
- Today
- Total
Creative-Chan
Ubuntu 18.04에서 Chrome Remote Desktop 설정하기 본문
머신러닝 공부를 제대로 해보기 위해서 기존에 꼬여있는 서버 컴퓨터의 Ubuntu 재설치를 하면서 Ubuntu에서 원격 데스크탑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Google Chrome의 Remote desktop을 설치하며, 설정 방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1. 구글 크롬 원격 데스크탑 사이트에서 chrome-remote-desktop_current_amd64.deb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뒤 실행하여 크롬 원격 데스크탑을 설치한다.
2. 크롬 원격 데스크탑을 설치해도 알수 없는 오류로 설정이 되지 않는데 이는 설정파일을 생성해주어야하기 때문이다. 아래 명령어를 통해 크롬 원격 데스크탑의 설정 폴더를 생성한다.
mkdir ~/.config/chrome-remote-desktop
3. 크롬 종료 후 재실행하면 원격 액세스를 설정이 활성화되며 컴퓨터 이름와 PIN 번호를 설정하여 사용한다.
Black screen이 떠서 마우스 커서만 보이면 GPU 호환이 되지 않는 것이므로 크롬의 설정에서 하드웨어 가속(Hardware acceleration)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위 방법으로 되지 않는다면 다음 명령을 통해 해결한다.
1. 사용자 계정을 chrome-remote-desktop 그룹에 추가한다. (username은 로그인 계정명)
sudo usermod -a -G chrome-remote-desktop username
- usermod: group 'chrome-remote-desktop' does not exist
- 위의 에러가 뜨면 더 이상 진행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2. 설정 변경을 위해 크롬 원격 데스크탑을 정지한다.
/opt/google/chrome-remote-desktop/chrome-remote-desktop --stop
3. 문제 발생시 복구를 위해 크롬 원격 데스크탑 설정 파일을 백업한다.
sudo cp /opt/google/chrome-remote-desktop/chrome-remote-desktop /opt/google/chrome-remote-desktop/chrome-remote-desktop.orig
4. 현재 디스플레이의 번호를 확인한다.
echo $DISPLAY
5. 설정파일을 열어 내용을 수정한다.
sudo gedit /opt/google/chrome-remote-desktop/chrome-remote-desktop
FIRST_X_DISPLAY_NUMBER = 0
- echo $DISPLAY 결과로 숫자 변경
def get_unused_display_number():
display = FIRST_X_DISPLAY_NUMBER
# while os.path.exists(X_LOCK_FILE_TEMPLATE % display):
# display += 1
return display
- 주석처리
# while os.path.exists(X_LOCK_FILE_TEMPLATE % display):
# display += 1
def launch_session(self, x_args):
self._init_child_env()
self._setup_pulseaudio()
self._setup_gnubby()
# self._launch_x_server(x_args)
# if not self._launch_pre_session():
# If there was no pre-session script, launch the session immediately
# self.launch_x_session()
display = self.get_unused_display_number()
self.child_env["DISPLAY"] = ":%d" % display
- 주석처리
# self._launch_x_server(x_args)
# if not self._launch_pre_session():
# self.launch_x_session()
- 추가 2줄
display = self.get_unused_display_number()
self.child_env["DISPLAY"] = ":%d" % display
6. 크롬 원격 데스크탑을 다시 실행한다.
'Programming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l에서 systemctl 사용하기 (0) | 2023.02.05 |
---|---|
Windows Deep Learning Server using WSL2 (0) | 2023.02.04 |
우분투 reboot과 NVIDIA Driver 에러로 인한 재설치 (0) | 2022.04.01 |
Jupyter Notebook (JupyterLab) 원격서버 설정하기 (0) | 2022.03.24 |
Anaconda 가상환경을 통한 딥러닝 환경 설정 (TensorFlow, PyTorch) (0) | 2022.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