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Ros
- 주피터랩
- GYM
- Baselines
- ubuntu
- 강화학습
- systemctl
- 무조코
- MuJoCo2.1.5
- Physics
- MuJoCo
- RemoteDesktop
- simulation
- bindings
- Robotics
- Reinforcement Learning
- WSL
- python3
- python
- 우분투
- Robot
- Anaconda
- jupyter
- wsl2
- Melodic
- mujoco-py
- TensorFlow
- OpenAI
- pyTorch
- JupyterLab
- Today
- Total
목록Anaconda (3)
Creative-Cha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7wt6s/btrX6oIEmHo/1vzVvFV7UOfVmSw31dLPWk/img.png)
오랜만에 작성하는 블로그 글. 개인적인 일정들로 스터디보다는 업무에 치중했었는데, 다시 조금씩 스터디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전에 초안까지는 작성했던 글들도 다시 올릴 예정이다. WSL이란 Window Subsystem for Linux 말 그대로 리눅스용 윈도우의 하위 시스템으로 윈도우에서 실행하는 리눅스라고 할 수 있다. 기존에는 가상 머신 등을 사용하거나, 듀얼 부팅 시스템을 활용하여 리눅스 시스템을 사용하였다면, 윈도우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리눅스 시스템이다. 기존에는 학교에서 리눅스 서버를 구축하여 사용했었는데, 학교를 떠난 이후에는 서버를 사용할 수가 없어 개인이 보유한 맥 또는 윈도우 시스템을 활용하였다. 개인적으로는 주로 집에서는 M1 아이맥, 카페나 외부에서는 2017 맥북프로 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QDnM/btrybYvrC0k/gtNYOmcpl6UpNTq5cku7T1/img.png)
목차 1. ROS란? ROS(Robot Operating System)는 2007년 미국 스탠포드 대학에서 진행하던 STAIR(STanford AI Robot)에서 개발을 시작한 로봇 운영체제이다. ROS는 로봇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운영체제로 생각하면 된다. 하드웨어 추상화, 하위 디바이스 제어, 메시지, 패키지 관리, 개발 및 디버깅 도구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전 세계의 많은 대학, 연구소, 회사 등에서 로봇 개발을 위해 사용하고 있고, 대부분 오픈소스로 제공되어 ROS 생태계가 구축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양한 로봇 플랫폼에서 내가 연구하고 개발하는 로봇에 필요한 모듈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등의 효율적인 개발과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내가 모바일 로봇을 개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U9LC/btrwUls1Kx5/Azvb0lFpcgqaytocK6FrS0/img.png)
목차 1. 서론 머신러닝 스터디를 위해 사용할 우분투 서버 환경을 구축하면서 기존에 사용하던 Python 내의 Pip 환경 대신 Conda 가상환경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시대가 많이 바뀌어서 그런지 옛날에 세팅할 때에 비해 간단해지고 쉬워진 부분이 있지만, 버전 업 되면서 달라지는 부분들이 있기 때문에 2022년 3월 기준으로 세팅을 정리하고자 한다. 2. 가상환경을 쓰는 이유?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계속 설치하다 보면 각 라이브러리의 의존성(Dependency) 문제로 인해 다양한 오류를 만나게 되고, 우분투를 다시 설치하는 불상사를 수시로 겪게 된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Base 위에 가상환경(Virtual environment)을 만들고 필요한 라이브러리만 해당 가상환경에 설치하여..